top of page

<Hi, Sangok1-dong>

Incheon, 2021

<안녕, 산곡1동> 인천문화재단 지원사업, 2021

Japanese style public housings (영단주택, Yeongdan Jutaek) were originally built in Sangok1-dong for arsenal factory worke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in Korea. By architecturally designing the buildings as attached houses, having a surplus of space, the Japanese were able to take on more workers.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left Korea and US forces came to set up their base in Bupyeong now known as Sangok-dong. Soon after they arrived, the town was packed with clubs and bars that catered for the US forces. Many Korean’s came to work in Sangok-dong including young ladies called “Yang-gongju” (meaning American’s princess), these ladies then refilled the empty Japanese style public housings that were formerly for the weapon factory workers. During this period, the town was booming with business, it was popular with locals as a hub for new trends coming in from America, such as fashion items, electronics, and even daily necessities. However, in 1973 when the US army left the appeal of Sangok-dong wore off and many Korean people lost the reason to continue living and working there. Without American customers, businesses started to close and since then there has been few people still living in the area. The Korean’s that do remain are left waiting for the redevelopment of the area, waiting in the quiet shadows of the once hustle and bustle on the streets.

This project highlights the local life and stories of people in Sangok1-dong through photographs and interviews that myself and a team collected, we then turned the resident’s stories into a street dance performance which I documented through images.

일제시대 지금의 인천 부평에 무기를 만드는 공장 조병창이 들어섰다. 영단주택은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숙소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일제에 의한 조선의 병참기지화의 일환으로 주거의 개념보다 ‘수용’의 효용적 측면이 강조되어 열악한 환경의 주택이 조성되었다. 줄지어 지어진 집은 하나의 벽을 양쪽의 집이 공유하는 방식으로 지어져 후에 공간 개선의 여지마저 없었다고 한다. 그렇게 일제가 떠나고 그 빈자리를 소위 ‘양공주’로 비아냥의 대상이 되었던 여성들이 채웠다. 한때 제 2의 명동이라 불릴 만큼 유행을 선도했던 산곡동은 지금 재개발을 기다리고 있다. 도시가스도 들어오지 않아 골목 곳곳에 LPG 가스통과 연탄재의 흔적이 가득하다.

산곡동에서 40년 넘게 자리를 지켜온 봉다방, 주인 할머니가 풀어내는 수 십년의 이야기가 방금 탄 쌍화탕처럼 따뜻했다. 우리가 그저 오래된 것들에 감탄하고, 봉다방 같은 공간의 당위성에 대해 주제 넘는 걱정을 하는 동안 할머니는 이곳이 언젠가 사라진다는 아쉬움 대신 담담한 안녕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정도 했으면 괜찮아, 그만할 때도 됐지”

사진이 나오면 돌려드리러 오겠다는 약속을 뒤로 하고 우리는 다방을 나섰다. 재개발 단지의 크레인 위로 달이 뜨고 있었다. 봉다방이 문 닫는 날, 추억의 문을 열고 들어갈 할머니의 뒷모습을 오래 생각했다.

bottom of page